핫이슈

부울경 광역철도 동남권순환 수혜 지역 양산 물금 투자 정보

핫이슈냥 2024. 11. 2. 09:15
반응형

부울경을 하나로 잇는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사업, 본격 추진

부산, 울산, 경남을 잇는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최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며,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었습니다. 국민의힘 윤영석 국회의원(양산 갑)은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사업이 통과되기까지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긴밀한 소통과 노력이 있었다고 밝혔으며, 2026년 예비타당성 조사가 완료되면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동남권순환 광역철도의 사업 개요와 필요성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사업은 총사업비 1조 9,345억 원을 투입해, 울산 KTX역과 양산 북정, 김해 진영을 연결하는 총 51.4km 구간의 철도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2023년 8월 사전 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 비율이 0.7을 넘겨, 경제성이 확보된 사업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져 사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습니다.

윤영석 의원은 이 사업이 부울경의 교통 혁신을 가져올 핵심 프로젝트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양산 물금역에서 부산 가덕도 신공항까지의 이동 시간이 기존의 2시간 30분에서 약 40~50분으로 대폭 줄어들어, 부산~울산~경남 주요 거점도시 간 이동 시간을 1시간 이내로 단축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부울경 지역민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생활권을 제공하게 되며, 지역 간 통합과 교류를 활성화할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노선과 주요 정차역

동남권순환 광역철도는 김해 진영에서 양산 물금, 북정, 상북, 하북을 거쳐 울산 KTX역까지 연결되며, 양산시가 주요 정차 지점으로 최대 수혜지가 될 전망입니다. 특히 물금역은 KTX가 정차하는 곳으로, 오는 2030년 준공 예정인 부산 가덕도 신공항과도 연결될 예정이어서 철도와 공항 간의 연계가 크게 강화될 것입니다.

윤 의원은 이 노선이 기존의 부산 노포, 양산 웅상, 울산 KTX역을 연결하는 구간과도 연결돼 부울경 지역을 동서 축으로 묶는 단일 교통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출퇴근 및 통학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역 경제와 산업의 통합, 신공항 건설 촉진에 큰 시너지 기대

동남권순환 광역철도가 완성되면 부울경 지역은 하나의 경제·산업권으로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윤영석 의원은 "이러한 광역교통망 구축은 부울경 지역의 경제와 산업 통합, 인적·물적 교류를 촉진하여 부울경 메가시티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용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윤 의원은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건설로 인해 이용객이 크게 늘어나면 공항 인프라 조기 확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교통망 건설을 넘어 부울경을 단일 생활권으로 묶고, 경제적 성장을 견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양산시의 기대와 수혜

이번 사업에서 양산시는 가장 많은 정차 지점을 갖게 되어 그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 주민들은 이번 철도 건설로 인해 교통 편리성이 높아지고, 주요 도시 간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양산시는 동남권순환 광역철도의 최대 수혜지로서 주민들에게 새로운 생활 편의와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부울경 메가시티 건설을 향한 큰 발걸음

부울경 메가시티는 부산, 울산, 경남을 하나의 광역권으로 묶는 대규모 계획으로, 지역의 경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외에서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구상입니다. 동남권순환 광역철도는 이러한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부울경을 단일 교통망으로 연결해 지역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이동 수단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부산, 울산, 경남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는 이 철도망이 완성되면 부울경 메가시티의 실현이 한층 더 가까워질 것이며, 지역 주민들은 대중교통의 혁신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